1. forEach와 map"배열을 이용한다"배열을 순회하고 각 요소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2가지 메서드 📍forEach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함수를 실행각 요소에 대해 콜백 함수를 호출 / 해당요소, 인덱스, 배열 자체에 대한 인수를 전달반환값이 없고 반복 작업을 위해 주로 사용됨const array = [1, 2, 3, 4, 5];array.forEach(function(element, index, array) { console.log(element);});//결과값 12345 📍map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주어진 함수를 호출콜백 함수의 반환 값을 포함한 새로운 배열을 생성기존 배열의 요소를 변경하지 않고 새로운 배열을 반환하기 때문에 변형된 배열을 생성하는데 주로 사용됨co..
📝객체란?객체란 'key'와 'value'로 이루어진 프로퍼티, 그리고 메서드의 집합이다. 📍객체의 구성프로퍼티(property)let person = { name: "김철수", age: 25,}'key값과 'value'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의미하며 위 코드에서는 name, age라는 key값 / 김철수, 25라는 value 값을 가진다.메서드 (method)let person = { name: "김철수", age: 25, height: function () {console.log(180)}}person.height(); 📝객체 선언 방식객체 리터럴 (Object Literal) 방식 - 많이 사용되는 방식!let person = { name: "김철수", age: 25,}cons..
https://stay-present.tistory.com/130

이번에는 호이스팅에 대해 포스팅을 해보려고 한다! 📑 호이스팅(Hoisting)이란?선언한 변수 및 함수가 선언 범위의 최상단으로 올라가 작동하는 자바스크립트의 행동이다.이는 변수나 함수가 실제 코드에서 작성된 위치와 관계없이 선언 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 변수 호이스팅 (let, const, var) //1번 예시myVar=3console.log(myVar); // 3var myVar = 5;console.log(myVar); // 5//2번 예시console.log(youVar) // undefindvar youVar = 3//3번 예시console.log(myLet); // ReferenceErrorlet myLet = 10;//4번 예시console.log(myLet);..
📑 스코프란? 단어의 뜻 그대로 '범위'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 이다.스코프는 아래와 같이 분류되며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한다!스코프 결정 방식: 정적 스코프 (= 렉시컬 스코프), 동적 스코프스코프 레벨: 전역 스코프, 지역 스코프, 블록 스코프, 함수스코프 📑스코프 결정 방식에 따른 분류📌 정적 스코프 (Static Scope) 또는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작성된 구조에 따라 변수의 범위가 결정되는 스코프 체계이다.함수가 어디서 호출되었는지가 아니라, 어디에서 정의되었는지에 따라 변수의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함수가 중첩되어 있을 때, 내부 함수 내에 해당 변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위 스코프에서 해당 현수를 찾는 방식을 의미한다. 전역 ..

📑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하나의 스레드에서 모든 작업을 처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동기 처리가 필요하다. 동기(sunchronous): 어떤 작업을 실행할 때 그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방식비동기(asynchronous): 어떤 작업 실행 시 그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다음 코드를 실행하는 방식. 작업이 오래 걸리는 경우 시간을 절약하고 병렬적인 작업 처리가 가능하다. 📑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 방식비동기 처리 백그라운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결과가 언제 반환되는지 알 수 없어 결과를 받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 3가지가 있다. 1. 콜백함수 (Callback)2. 프로미스 객체(Pro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