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코프란? 단어의 뜻 그대로 '범위'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변수에 접근할 수 있는 범위' 이다.스코프는 아래와 같이 분류되며 하나씩 정리해보려고 한다!스코프 결정 방식: 정적 스코프 (= 렉시컬 스코프), 동적 스코프스코프 레벨: 전역 스코프, 지역 스코프, 블록 스코프, 함수스코프 📑스코프 결정 방식에 따른 분류📌 정적 스코프 (Static Scope) 또는 렉시컬 스코프(Lexical Scope)작성된 구조에 따라 변수의 범위가 결정되는 스코프 체계이다.함수가 어디서 호출되었는지가 아니라, 어디에서 정의되었는지에 따라 변수의 유효 범위가 결정된다.함수가 중첩되어 있을 때, 내부 함수 내에 해당 변수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상위 스코프에서 해당 현수를 찾는 방식을 의미한다. 전역 ..

📑 자바스크립트는 싱글 스레드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하나의 스레드에서 모든 작업을 처리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번에 하나의 작업만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비동기 처리가 필요하다. 동기(sunchronous): 어떤 작업을 실행할 때 그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방식비동기(asynchronous): 어떤 작업 실행 시 그 작업이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다음 코드를 실행하는 방식. 작업이 오래 걸리는 경우 시간을 절약하고 병렬적인 작업 처리가 가능하다. 📑 자바스크립트 비동기 처리 방식비동기 처리 백그라운드로 동작하기 때문에 결과가 언제 반환되는지 알 수 없어 결과를 받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식 3가지가 있다. 1. 콜백함수 (Callback)2. 프로미스 객체(Promi..